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본격 추진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본격화
부산 강서구 일원에서 추진 중인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사업이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공공과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도시개발 모델을 통해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도시 구현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시티부산 주식회사, 사업 시행 총괄
사업 시행을 위해 설립된 스마트시티부산 주식회사는 부산시, 한국수자원공사, 부산도시공사 등 공공부문과 LG CNS, 신한은행, 현대건설 등 11개 민간 기업이 공동 출자해 만든 특수목적법인입니다. 이 법인은 향후 5년간 국가시범도시 예정지 내 선도지구 조성과 다양한 스마트서비스 제공을 책임집니다.
특히 로봇 혁신 기술을 우선 도입해 교통, 생활, 에너지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 개요
에코델타 스마트시티는 여의도와 비슷한 2.8제곱킬로미터(약 84만 평) 규모의 백지 부지에 상업, 업무, 주거, 문화 시설 등을 구축하고 첨단 IT 신기술을 적용해 지속 가능한 미래 스마트시티 대표 모델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법인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스마트서비스 고도화와 신규 서비스 개발에 전액 재투자되어 민간의 창의적 비즈니스 모델이 도시 운영에 반영되는 민관 공동사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닙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사업으로, 사업 기간은 구축 5년과 운영 10년을 포함해 총 15년이며, 사업 규모는 약 5조 6천억 원에 달합니다.
생활밀착형 로봇 서비스 시범 도입
올해 본격화된 시범도시 조성의 첫 단계로 공동주택 중심의 생활밀착형 로봇 서비스 4종이 시범 도입되고 있습니다.
- 바리스타 로봇: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설치되어 주민을 위한 무인 음료 제조 서비스를 제공하며, 관리비 연동으로 음료 재료비만 자동 정산됩니다.
- 청소 로봇: 아파트 내 공용공간에 설치되어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청소를 실시, 인건비 절감과 쾌적한 환경 조성에 기여합니다.
- 순찰 로봇: 아파트 단지 내 자율주행 순찰을 실시하며, 화재나 안전사고 감지 시 관제실과 관리사무소에 즉시 통보되어 순찰 인력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 짐캐리 로봇: 지하주차장에서 집 앞까지 짐을 자동으로 운반하며, 독립적으로 출입문과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 도착 시 휴대폰 알람으로 짐 수거를 안내합니다.
스마트시티부산 주식회사는 아파트 단지 2곳에서 이 4종 로봇 서비스를 시범 운영 중이며, 이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로봇 통합 관제 플랫폼을 도입해 다양한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초의 사례입니다.
향후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고 고도화하여 시민들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 경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시민을 위한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 서비스 공간 조성
부산시는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을 통해 시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