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전국 첫 끼인세대 맞춤 지원 나선다

부산, 전국 최초 끼인세대 맞춤형 지원 계획 발표
부산광역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끼인세대'를 위한 맞춤형 지원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 부산의 끼인세대는 35세에서 54세 사이 인구로, 지난 8월 기준 약 91만 명에 달해 전체 인구의 28%를 차지한다. 이들은 경제활동의 중심이면서도 자녀 양육과 부모 부양이라는 이중 부담을 안고 있어 사회적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부산시는 10월 14일 '제1차 부산시 끼인세대 지원 종합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2023년 10월 부산시의회 김태효 시의원이 발의해 제정된 '부산시 끼인세대 지원 조례'에 근거해 마련됐다. 조례는 끼인세대를 35세 이상 54세 이하로 정의하고 있다.
6대 분야 32개 사업에 918억 원 투입
부산시는 오는 2028년까지 '끼인세대에서 키(Key) 세대로'라는 슬로건 아래 일자리, 역량 개발 및 교육, 주거 안정과 금융, 문화 및 여가, 출산 및 양육, 노후 준비 등 6대 분야에 걸쳐 총 32개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약 918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일자리 분야에서는 이직과 전직 지원, 디지털 기술 활용,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위해 '4050 채용 촉진 지원사업' 등 6개 사업을 확대한다. 역량 개발 및 교육 분야는 맞춤형 역량 강화와 평생교육 지원에 중점을 두며, 2026년부터는 '직장인 직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신규로 운영할 예정이다.
주거 안정과 금융 분야는 다양한 주거지원 정책의 접근성을 높이고, 폐업 소상공인을 위한 '희망두배통장 지원사업' 등 5개 사업을 추진한다. 문화 및 여가 분야에서는 2025년 시범사업으로 '부산형 어린이 패스트트랙'을 포함한 7개 사업을 실시한다.
출산 및 양육 분야는 공동체 조성을 목표로 가족 친화 인증기업 확대 등 6개 사업을 진행하며, 노후 준비 및 건강 분야는 자산관리 교육 프로그램 등 4개 사업을 통해 개인 건강과 재정 관리를 지원한다.
내년 3개 사업 추가, 40대 출산 지원 강화
부산시는 내년에 3개의 지원 사업을 추가해 끼인세대 지원 범위를 더욱 넓힐 계획이다. 특히 40대 임신과 출산 증가에 대응해 '부산 40+ 산모 행복 패키지 지원사업' 등 안전하고 건강한 출산을 돕는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이번 종합계획의 자세한 내용은 부산시 공식 누리집(www.busan.go.kr/depart/abnotice)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태효 시의원, 끼인세대 지원 출발점 강조
김태효 부산시의원은 "이번 정책은 그동안 소외됐던 끼인세대를 위한 지원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우리 사회를 지탱하는 끼인세대의 역량을 보전하고 강화하는 것이 인구 감소 위기에 직면한 부산을 살리는 길"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