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형 급행철도 민자사업 적격성 통과

부산형 급행철도 민간투자사업 적격성 통과
부산의 미래 교통 인프라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차세대 부산형 급행철도(BuTX) 민간투자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 적격성 조사를 성공적으로 통과했습니다.
이 사업은 2023년 9월 하나금융그룹이 주관사로 참여하는 ‘(가칭)BuTX 급행철도㈜’가 제안서를 제출한 이후, 같은 해 11월 부산시가 한국개발연구원에 적격성 조사를 의뢰하며 본격 추진되어 왔습니다. 이번 적격성 조사 통과로 민간투자사업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부산의 교통 혁신, 차세대 부산형 급행철도
BuTX 사업은 도심 지하 공간에 고속 이동수단을 구축하여 가덕도신공항에서 도심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고속 철도망을 조성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부산의 지형적 한계를 극복하는 교통 혁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민간투자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재정 부담을 줄이고 사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대 효과
- 출퇴근 시간 단축
- 교통 혼잡 완화
- 대중교통 이용 편의 증대
- 탄소 저감 및 친환경 교통체계 구축
노선 구성
노선 | 경로 |
---|---|
A노선 | 신공항~하단~북항~센텀~오시리아~좌천~남창~태화강 |
B노선 | 신공항~하단~부전~노포~월평~웅촌~울산(신복) |
C-1노선 | 신공항~장유~창원중앙~창원 |
C-2노선 | 창원~장유~사상~부전~오시리아~좌천~남창~태화강 |
향후 계획
부산시는 민자 적격성 조사 통과를 바탕으로 전략환경영향평가, 재해영향성 및 환승편의성 검토 등 후속 절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올해 말까지 제3자 제안공고(안)를 마련하고, 2026년 상반기 시의회 동의와 민간투자사업 심의를 거쳐 제3자 제안공고를 실시할 계획입니다.
이어 2027년에는 실시협약 및 사업자 지정 등 행정절차를 신속히 진행하여 가덕도신공항 개항 시기에 맞춰 BuTX를 개통할 예정입니다.
또한, BuTX 정거장은 주변 지역과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복합 개발 방안을 구상 중이며, 기본 구상안을 바탕으로 재정 및 민자 개발 방안 등 세부 계획을 수립해 나갈 계획입니다.
아울러 부산시는 BuTX 사업을 경남과 울산까지 확대하여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처럼 부·울·경을 30분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광역경제 및 생활권으로 발전시키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2024년 5월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을 국토교통부에 건의해 현재 협의 중입니다.
부산을 글로벌 허브도시로
차세대 부산형 급행철도는 부산을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시키는 중요한 기폭제가 될 전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