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지원사업 정부·지자체의 3조 3000억 원 투자!
창업지원사업 개요
정부와 지자체가 내년에 약 3조 3000억 원 규모의 창업지원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31일 내년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통합공고에는 101개 기관의 429개 창업지원사업이 포함되며, 전체 예산은 3조 2940억 원입니다. 이는 예비 창업자와 창업 기업들에게 정보를 일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2016년부터 시행된 통합공고의 일환으로, 많은 창업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창업 지원사업의 유형은 크게 융자, 사업화, 기술개발 등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규모와 분포가 매우 다양합니다.
지원사업 예산 비율
이번 통합 공고에 포함된 지원사업의 예산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융자 사업에 가장 많은 예산이 배정되었고, 사업화 및 기술 개발 분야도 적지 않은 액수가 할당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융자는 1조 5552억 원에 달하며, 이는 전체 예산의 47.1%에 해당합니다. 사업화는 7666억 원(23.3%), 기술 개발은 6292억 원(19.1%)으로 뒤를 잇고 있습니다. 이러한 예산 배분은 창업 생태계를 지원하고, 다양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들이 실제 세상에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융자: 1조 5552억 원 (47.1%)
- 사업화: 7666억 원 (23.3%)
- 기술 개발: 6292억 원 (19.1%)
중앙부처 및 지자체 지원 계획
중소기업과 지자체들은 창업 지원금을 통해 창업 생태계의 활성화를 목적합니다. 중기부는 중앙부처 중 가장 많은 예산을 지원하며, 이에 대해 문체부, 과기정통부, 환경부 등이 이어지는 지원을 제공합니다. 문체부는 530억 원, 과기정통부는 454억 원의 예산을 각각 할당합니다. 특히, 통일부와 방위사업청은 내년부터 新 창업지원사업을 신설할 예정으로, 방산 분야 및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도 추가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다양한 중앙 정부 지원사업은 지역 창업 생태계를 더욱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창업기업 지원 프로그램
중기부는 유망 창업기업을 선발하여 사업화 및 성장을 지원하는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그 중 하나는 초격차 스타트업1000+ 프로젝트로, 시스템반도체 및 바이오·헬스 분야의 유망 기업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를 통해 1310억 원 규모로 669개 사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한, 혁신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 대기업과 협업할 수 있도록 돕는 딥테크 밸류업 프로그램도 신설되어, 예산 70억 원으로 50개 사를 지원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창업 기업들이 실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환경부의 창업 지원
환경부는 녹색산업 분야의 유망 창업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 창업자와 창업기업을 위한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을 운영합니다. 이 사업은 230억 원의 예산으로 210개 사에 창업 자금을 지원하고, 육성 프로그램을 시행합니다. 이러한 지원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친환경적인 경제 시스템 구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중기부와 환경부의 협력으로 창업 생태계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술개발 지원 계획
지원 사업명 | 예산 규모 | 지원 대상 |
창업성장기술개발 | 5960억 원 | 업력 7년 이하, 연 매출액 20억원 미만 |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 | 107억 원 | 실험실 창업팀 100개 팀 |
실험실 특화형 창업 선도대학 사업 | 107억 원 | 116개 실험실 |
중기부는 최대 15억 원의 기술개발비를 연간 지원하여 업력 7년 이하의 창업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계획입니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다양한 사업을 통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연구원이 창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공공기술기반 시장 연계 창업 탐색 지원 사업과 실험실 특화형 창업 선도대학 사업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런 사업들은 창업 생태계의 혁신적인 성장을 이끌어낼 것입니다.
글로벌 진출 지원 프로그램
중기부는 창업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530억 원의 예산으로 353개 사를 지원하여, 해외시장 진출 기회를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또한 내년부터는 스타트업 법률 지원사업이 신설되어, 18억 원의 예산으로 법률 상담을 통해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지원은 창업 기업들이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도록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재창업 지원 프로그램
중기부는 성실하게 운영하였으나 실패한 기업인의 재도전을 지원하기 위해 재창업 융자자금을 확대하여 2000억 원으로 설정했습니다. 이러한 지원책은 재도전을 원하는 기업인들에게 큰 힘이 될 것입니다. 또한, 각 지역의 지자체에서도 재창업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 예를 들어, 경기도에서 기술창업 재도전 지원을 위해 3억 원을, 광주시는 2억 원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재창업 지원 프로그램들은 기업인들이 새로운 출발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역할
전국 17개의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스타트업과 투자자 간의 네트워킹 활동을 촉진하고, 다양한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산 364억 원으로 투자설명회 및 다양한 혁신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예비 창업자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창업자들이 보다 쉽게 자금을 조달하고,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이는 창업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은 지역 창업 생태계의 발전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결론 및 향후 계획
모든 창업 지원사업에 대한 세부 사항은 K-Startup 포털 및 중기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 제공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조경원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정책관은 이번 통합공고를 통해 누구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창업에 도전하여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창업사업들이 더욱 강화되어, 창업 생태계의 재정비 및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