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자유특구 중기부와 14개 시도 논의 시작!
중소기업 혁신 클러스터를 위한 협력 방안
중소벤처기업부는 최근 중소기업의 혁신을 도모하고, 지역적 특성을 살린 발전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전국 14개 시도와 함께 제1차 중기부-지자체 특구협의회를 개최했다. 이 협의회는 특구기업들이 혁신기술과 사업 모델을 성공적으로 안착시켜 지역 혁신 클러스터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오영주 장관은 이번 회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각 지자체와의 소통을 강화할 것을 다짐했다.
협력 계획 및 현안 논의
이날 회의를 통해 중기부와 지자체 간의 협력계획을 모색하게 되었으며, 신규 특구별 실증추진단 구축과 글로벌 혁신특구를 통한 해외 협력 기반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협의회에 참석한 지자체 관계자는 “다른 지역의 특구 성과를 공유하는 의미 있는 자리”라고 평가하며, 규제자유특구의 발전을 위해 차질없는 계획 이행과 성과 창출에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 중기부와 지자체의 협력 계획
- 실증추진단 구축 및 운영
- 글로벌 혁신특구의 중요성
- 규제자유특구의 조화로운 발전
- 기업 지원 인프라 개발
해외 협력과 지원 방안
협력 기대 | 애로사항 | 지원 요청 |
해외 실증 성과 기대 | 다양한 애로사항 | 적극적 지원 필요 |
국제 공동 R&D | 협력 과정의 문제 | 연구기관과의 협력 |
글로벌 진출 | 인증 및 평가 문제 | 인증기관 지원 |
올해 처음 지정된 글로벌 혁신특구 담당자들은 해외 실증과 국제 공동 R&D를 통한 글로벌 진출에 큰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협력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애로사항이 존재함을 알리며, 중기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이러한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기업의 해외 진출과 성공적인 성과 창출에 큰 도움이 될 것이 분명하다.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중소벤처기업부 특구혁신기획단 김홍주 단장은 “지역별 각 특구의 특성과 필요를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해 기업들에 기술 개발 및 인프라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지원은 특구 내 기업들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며, 지역 발전의 근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협력
앞으로 중소벤처기업부는 규제자유특구를 전략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지자체와의 협의를 정례화하여 경제자유구역 등의 타 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중기부-지자체 간의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혁신적인 성과를 함께 이루어 나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