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8인치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생산시설 준공

Last Updated :
국내 첫 8인치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생산시설 준공

㈜아이큐랩 본사 및 생산시설 준공식 개최

2025년 9월 17일 오전 11시 30분, 부산 기장군 장안읍 반룡리 963-3에 위치한 ㈜아이큐랩 본사에서 준공식이 열렸다. 이번 준공식은 국내 최초로 8인치 탄화규소(SiC) 기반 전력반도체 전 공정 생산시설을 갖춘 ㈜아이큐랩의 본사 및 생산시설 완공을 기념하는 자리였다.

국내 최초 8인치 SiC 전력반도체 전 공정 생산시설

㈜아이큐랩의 이번 생산시설은 자체 제품 생산뿐 아니라 위탁 생산(파운드리) 서비스도 가능한 첨단 제조설비를 갖추고 있다. 2025년 시범 가동을 거쳐 2026년부터는 웨이퍼 기준 연간 3만 장 규모로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이로써 국내 반도체 산업에서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분야의 국산화와 첨단 기술 내재화에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

부산시와의 긴밀한 협력과 투자 지원

㈜아이큐랩은 2023년 10월 부산시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한 후 2024년 6월 본사 및 생산시설 착공에 들어가 약 1년 만에 준공을 완료했다. 부산시는 경기도 안산에 있던 본사의 부산 이전 결정에 따라 약 50억 원 규모의 투자유치 진흥 기금 지원과 각종 인허가 절차를 신속히 추진하며 전 과정을 긴밀히 협력했다.

기업 현황과 산업 전망

항목내용
본사 소재지부산시 기장군 장안읍 반룡리
업종기타 반도체 소자 제조업
주요 생산품SiC 전력반도체 소자

㈜아이큐랩은 2018년 설립 이후 반도체 전문 인력 영입과 연구개발에 집중해 650V 저전압부터 1700V 고전압 제품까지 다양한 SiC 전력반도체 라인업을 구축했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AI와 초연결 초지능 기술 확산에 힘입어 지속 성장 중이며, 특히 전력반도체 시장은 연평균 7.3%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다만 국내는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부산시의 전력반도체 산업 클러스터 구축 노력

부산시는 2016년 파워 반도체 상용화 사업을 시작으로 2023년 전력반도체 소부장 특화 단지 지정, 2024년 기회발전특구 추가 지정 등 전력반도체 산업 클러스터 조성에 힘쓰고 있다. ㈜아이큐랩의 부산 이전과 생산시설 준공은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평가받는다.

향후 투자 계획과 지역 인재 양성

  • 2025년 하반기: 장비 추가 구매 약 300억 원
  • 2026년: 장비 추가 구매 약 500억 원
  • 2027~2028년: 제2공장 건립 및 장비 투자 약 3,000억 원

전체 사업 부지는 약 8,750㎡(2,650평), 연면적은 약 7,322㎡(2,220평) 규모로 클린룸과 사무시설을 포함하며 총사업비는 1,000억 원에 달한다.

㈜아이큐랩은 부산 이전을 계기로 지역 청년 채용과 인재 양성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부산·경남 지역 고등학교 및 대학과 산학협력을 확대해 졸업생 채용을 추진 중이며, 총 200여 명의 신규 채용을 통해 우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또한 사무동 1개 층(약 200평)을 전력반도체 분야 라이즈(RISE) 현장 캠퍼스로 조성해 지역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 강화에 힘쓸 예정이다.

부산, 글로벌 전력반도체 허브도시 도약 기대

㈜아이큐랩의 부산 이전과 본사 및 생산시설 준공은 현재 개최 중인 국제탄화규소학술대회와 맞물려 부산이 글로벌 전력반도체 허브도시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다. 부산시는 앞으로도 ㈜아이큐랩이 더욱 성장하는 모범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국내 첫 8인치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생산시설 준공
국내 첫 8인치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생산시설 준공
국내 첫 8인치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생산시설 준공 | 부산진 : https://busanzine.com/5439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부산진 © busan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