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전국 첫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Last Updated :
부산, 전국 첫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부산, 전국 최초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확정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에서 부산이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번 결정은 지난 4월 부산시가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분산 특구 지정을 신청한 이후 11개 지자체 25개 사업 중 4개 지자체 4개 산업이 최종 선정된 결과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의 의미와 제도적 배경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수요지 인근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에너지 지산지소'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제도다. 이는 새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핵심 에너지 정책으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지정된 특구 내에서는 사업자가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지역 내에서 생산한 전기를 직접 거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 단위의 자립적 에너지 생태계 조성이 가능해진다.

부산시 분산 특구 지정 및 추진 계획

부산시는 분산 특구 3가지 유형 중 신산업활성화형으로 지정되었으며, 대상 지역은 에코델타시티, 명지지구, 강서권 6개 산업단지 등 총 49.9㎢에 달한다. 강서권 6개 산업단지는 명지녹산, 미음, 신호, 화전, 생곡, 국제물류도시를 포함한다.

이번 사업은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와 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ESS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활용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 시 공급함으로써 계통 안정성과 에너지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에너지관리시스템과 AI 기반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을 결합해 에너지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하는 미래형 에너지 모델 구축을 목표로 한다.

분산 특구 지정에 따른 기대효과

  • 전기 요금 절감: 총 500MWh 규모의 ESS 설치로 기업들은 심야 등 저렴한 시간대에 충전한 전력을 피크 시간대에 활용해 기업별 최대 8% 수준, 부산 전체적으로 연간 157억 원의 전기 요금 절감이 예상된다.
  • 설비투자 비용 절감: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첨단 산업은 무정전 전력 공급을 위한 개별 설비 설치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나, ESS 구독 서비스를 통해 약 2천500억 원 규모의 설비 투자비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 출력 제한 해소: 대규모 ESS가 재생에너지의 과잉·과소 공급을 조정해 태양광 등 분산 전원의 출력 제한을 완화하고, 연간 44억 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
  • 기업 유치 촉진: ESS의 500MWh 전력 저장 용량은 약 4만 2천 세대의 하루 사용량에 해당하며, 첨단 데이터센터 5개를 운영할 수 있는 규모로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 공급 기반 확보를 통해 첨단기업 유치에 기여할 전망이다.

친환경 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

부산시는 이번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으로 에너지 자립과 탄소중립 실현에 한 걸음 더 다가서며, 친환경 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할 계획이다.

부산, 전국 첫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부산, 전국 첫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부산, 전국 첫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 부산진 : https://busanzine.com/5572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부산진 © busan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