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경보 확산, 온열질환 예방과 부산 무더위쉼터 안내

Last Updated :
폭염 경보 확산, 온열질환 예방과 부산 무더위쉼터 안내

폭염 경보 확산과 온열질환 증가

현재 대한민국 전역에 폭염 경보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온열질환 환자 수가 급증하는 추세입니다. 무더운 여름철, 온열질환은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발생하는 급성 질환으로, 두통, 어지럼증,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적절한 예방과 신속한 대처가 매우 중요합니다.

온열질환의 종류와 주요 증상

질환명주요 증상
열사병체온 40도 이상, 땀 분비 없음, 건조하고 뜨거운 피부, 심한 두통, 오한, 빠른 맥박과 호흡, 저혈압, 의식 상실 가능. 신속한 조치 없으면 사망 위험
열탈진과도한 땀, 극심한 피로, 창백함, 근육경련
열경련어깨, 팔, 다리, 복부, 손가락 등 근육경련
열실신일시적 의식 상실, 어지럼증
열부종손, 발, 발목 부종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 차이

폭염주의보는 일 최고 체감온도가 33도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거나, 급격한 체감온도 상승 및 장기화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발령됩니다. 반면, 폭염경보는 일 최고 체감온도가 35도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거나, 광범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발령됩니다.

폭염일수와 온열질환자 증가 추세

년도폭염일수(일)온열질환자 수(명)
20207.71,376
202111.81,078
202210.61,564
202314.22,818
202430.13,704

폭염 고위험군 대상자

  • 고령자 및 독거노인
  • 어린이 (과도한 야외 활동 및 차량 내 단독 방치 주의)
  • 야외 근로자 (온열질환 증상 및 응급조치 숙지 필요)
  • 만성질환자 (고혈압, 심장병, 당뇨, 신장질환, 뇌졸중 등)

온열질환 응급조치 방법

의식이 있는 경우: 시원한 장소로 이동 후 옷을 헐렁하게 하고 몸을 식히며 수분을 섭취합니다.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119에 연락해야 합니다.

의식이 없는 경우: 즉시 119에 연락하고 시원한 장소로 옮긴 뒤 옷을 헐렁하게 하여 몸을 식힙니다. 음료를 마시게 하는 것은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금지합니다.

폭염 대비 건강수칙

  • 자주 샤워하여 체온 조절
  • 외출 시 양산과 모자 등으로 햇볕 차단
  • 헐렁하고 밝은 색상의 가벼운 옷 착용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수분 섭취 (신장질환자는 의사 상담 후)
  •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 취하기
  • 건강 상태를 고려해 활동 강도 조절
  • 폭염 시 야외 작업 자제

부산 지역 무더위쉼터 이용 안내

부산 시민들은 무더위쉼터를 적극 활용해 폭염을 피할 수 있습니다. 무더위쉼터는 네이버 지도, 각 구·군 홈페이지, 안전디딤돌 앱, 국민재난안전포털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네이버 지도: 검색창에 '무더위쉼터' 입력 후 주변 쉼터 위치 확인 가능
  • 구·군 홈페이지: 각 구·군별 홈페이지에서 '무더위쉼터' 검색 후 현황 확인
  • 안전디딤돌 앱: 설치 후 [시설정보] - [무더위쉼터] 메뉴에서 위치 설정 후 확인 가능
  • 국민재난안전포털: 재난현황 메뉴에서 부산광역시 및 해당 구·군 선택 후 무더위쉼터 위치 확인 가능

최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야외 활동이 부담스러운 상황입니다. 그러나 온열질환의 증상과 대처법을 숙지하고, 무더위쉼터를 적극 이용한다면 안전하고 건강한 여름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폭염 경보 확산, 온열질환 예방과 부산 무더위쉼터 안내
폭염 경보 확산, 온열질환 예방과 부산 무더위쉼터 안내
폭염 경보 확산, 온열질환 예방과 부산 무더위쉼터 안내 | 부산진 : https://busanzine.com/5203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부산진 © busan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