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학축전, 과학과 문화의 만남 현장

Last Updated :

부산과학축전, 과학과 문화의 만남 현장

부산광역시는 금융, 물류, 디지털·첨단산업뿐만 아니라 교육, 문화, 관광 분야까지 고르게 발전하며 글로벌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의 일환으로 개최된 제24회 부산과학축전은 지역 학술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과학기술을 시민과 세계가 소통하는 문화축제로 선보였습니다.

과학과 문화의 앙상블, 프랑스 테마 전시

이번 축전의 주제는 ‘과학과 문화의 앙상블’로, 과학이 대중문화로 자리 잡아가는 흐름을 반영해 기획되었습니다. 전시장은 프랑스어 테마 공간으로 꾸며져 ‘르땡 놀이터’, ‘쁘띠 과학관’, ‘에꼴 실험실’, ‘사이언스 꽁뜨’ 등 19세기 파리 만국박람회를 연상시키는 총 110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습니다.

체험과 강연으로 만나는 과학

과학커뮤니케이터와 크리에이터의 강연을 통해 최신 과학 동향부터 기초과학까지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졌으며, 유아 대상 공연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이 자연스럽게 과학에 흥미를 갖도록 도왔습니다. 특히 관람객이 직접 실험하고 결과를 확인하는 체험형 부스는 주입식 교육을 벗어나 능동적 학습 환경을 제공, 부산시와 교육청이 추구하는 참여형 교육과 산업 융합의 방향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생활 속 과학과 예술의 융합

전시장에서는 문화재 복원에 활용되는 탁본 기술 체험, 라면 면발 속 과학 원리 분석과 시식 체험 등 생활 밀착형 콘텐츠가 인기를 끌었으며, 현대무용, 미술, 음악, 영화 등 예술 속 과학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전시도 마련되어 관람객들에게 과학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경험을 선사했습니다. 이러한 융복합 전시는 부산시의 IT 및 콘텐츠 산업 육성 정책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지역 과학관과 박물관의 참여

부산과 경남 지역의 박물관 및 과학기관들이 참여해 각 기관의 특성을 살린 체험형 부스를 운영, 지역의 상징성과 과학적 지식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국립부산과학관 부스에서는 AI 기술을 활용한 사진 체험과 음악에 맞춘 로봇 군무 공연이 펼쳐져 아이들의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과학과 미래 교육의 만남

이번 축전은 가족 단위 관람객에게 주말 나들이로도 손색없는 과학과 즐거움이 공존하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참여 기관들의 전문 체험 프로그램은 실제 과학 기반 직업군의 특성과 장비를 활용해 깊이 있는 체험을 가능하게 했으며, 아이들은 과학기술과 진로를 직접 보고 만지며 미래에 대한 꿈을 키우는 소중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과학커뮤니케이터와 청소년의 역할

최근 과학커뮤니케이터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축전에서는 ‘사이언스 꽁뜨’ 강연에서 과학커뮤니케이터와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과학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습니다. 또한 중·고교생들이 직접 운영하는 실험실 부스는 관람객과 소통하며 과학을 설명하는 ‘작은 커뮤니케이터’ 역할을 수행, 과학의 대중화를 실천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학, 문화로 자리매김하다

과학은 이제 전문 영역을 넘어 누구나 즐기고 소비하는 문화 콘텐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부산시와 교육청은 시민들이 과학을 친숙하고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부산과학축전을 꾸준히 개최하며, 과학기술 기반 지역 성장과 자생력 확보, 지역 균형 발전과 소멸 위기 대응이라는 목표를 함께 실현하고 있습니다.

부산과학축전 운영 정보

위치BEXCO,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APEC로 55
전시 기간2025년 4월 12일(토) ~ 4월 13일(일)
전시장벡스코 제1전시장 3홀
운영 시간10:00 ~ 17:00
입장료무료

이번 부산과학축전은 과학을 단순한 학문이 아닌 문화와 경험으로 재해석하며, 시민과 미래 세대가 과학을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부산 곳곳에 마련된 과학관과 상설 전시 프로그램을 통해 언제든지 과학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려 있습니다.

부산과학축전, 과학과 문화의 만남 현장
부산과학축전, 과학과 문화의 만남 현장
부산과학축전, 과학과 문화의 만남 현장 | 부산진 : https://busanzine.com/4933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부산진 © busan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