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육비 저소득 한부모가족에게 23만원 지원된다!
디지털성범죄 지원 확대 및 상담체계 강화
정부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성범죄 삭제 지원 범위를 불법촬영물에서 피해자 신상정보까지 확대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성범죄 피해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상담 전화 서비스는 전국적으로 '1366'으로 일원화되어 일관된 지원이 가능해진 점이 중요합니다. 이로 인해 피해자들은 보다 손쉽게 필요한 상담과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성범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피해자를 위한 보다 촘촘한 보호망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양육비 선지급제도 도입과 지원 확장
오는 7월부터 시행될 양육비 선지급제도는 한부모가족을 위한 중요한 정책 변화입니다. 이 정책은 양육비를 받을 수 없는 한부모가족에게 국가가 먼저 양육비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비양육자에게는 나중에 회수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로 인해 저소득 한부모가족들이 생활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는 또한 아동양육비 지원 금액을 자녀 1인당 월 2만원씩 인상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많은 가정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입니다.
-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신상정보 지원 확대
- 전국적으로 '1366' 상담전화 일원화
-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으로 한부모가족 지원 강화
일·가정 양립과 저출생 문제 해결
여성가족부는 저출생 극복을 위한 여러 정책을 통해 일·가정 양립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가족친화적인 일터를 확산시키고 남녀가 함께 돌봄에 참여하도록 하여, 사회 전반의 문화 변화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맞벌이 가구에 대해 아이돌봄 지원을 강화하고,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도 실시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가족의 양육 부담을 줄이고, 여성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약자 보호를 위한 정책 개선
위기 가족과 청소년이 처한 경제적 어려움 해소를 위해 안전망 강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특히 양육비 선지급제를 통해 한부모가족의 지원이 강조되고 있으며, 저소득 한부모가족을 위한 아동양육비 지원 확대와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입소 기준 완화가 이루어집니다. 조손가족의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법률 상담과 소송 지원 서비스도 강화하여 다양한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책은 모두가 소외되지 않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폭력 피해자 지원 및 예방 체계 확립
지원 방법 | 대상 | 목표 |
상담 및 지원 센터 운영 | 폭력 피해자 | 안전하고 신속한 지원 제공 |
법률 상담 및 지원 | 교제폭력 피해자 | 2차 피해 방지 |
폭력 피해자에 대한 지원은 단순히 에 대한 대응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을 넘어, 지속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디지털 성범죄나 스토킹 등 신종 폭력에 대한 대응 방안을 강화하고, 피해자가 필요한 지원을 적시에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기존의 상담소를 확대하고, 피해자 진단 도구를 보급하여 피해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필수적입니다.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 강화
저출생 문제에 대응하는 한편,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정책도 중요합니다. 자립지원수당과 같은 경제적 지원이 이뤄지며, 가정 밖 청소년이 안정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는 탈시설화와 자립 지원을 통합한 정책으로, 보다 많은 청소년과 가족이 반드시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다양한 지원 방안 및 프로그램 개발
장기적으로 정부는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 전반의 안전망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교육 콘텐츠 개발 및 폭력 예방 교육을 강화하여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기반의 직업훈련 프로그램 및 실질적인 지원 제도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모든 국민이 안정된 삶을 영위하도록 도와야 한다는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여성, 청소년, 가족을 위한 정책 방향
이번 정책 방향은 여성, 청소년, 가족이 의지할 수 있는 든든한 버팀목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입니다. 신영숙 여가부 차관은 모든 정책이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이는 정책이 실제로 필요한 이들에게 전달되고, 실질적인 차별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뜻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