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엔자 급증 올해 백신 접종 필수!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급증 현황
지난주(12월 22일~28일), 인플루엔자 의사환자가 2016년 이래 최고 수준으로 발생했다는 소식이 전해짐에 따라 질병관리청이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며 특히 65세 이상 어르신 및 어린이들은 인플루엔자 백신을 서두르도록 요청되었다. 질병청의 표본 감시에 따르면 최근 4주 동안 외래환자 수가 급증하여 52주차 외래환자 1000명 당 73.9명으로, 이는 51주차 대비 136% 증가한 수치이다. 다양한 연령에서 고르게 발생하고 있으며, 13~18세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등 경각심이 필요하다.
인플루엔자 발생률 및 분포
최근 인플루엔자의 발생률이 모든 연령층에서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52주차 기준 13~18세에서 151.3명으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고, 7~12세, 19~49세에서 각각 137.3명, 93.6명의 발생률을 기록했다. 이는 호흡기바이러스 병원체 감시 결과와 평행선을 이루고 있으며, 이 기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인플루엔자를 예방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 52주차에 발생한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수는 73.9명이다.
- 65세 이상 어르신과 어린이를 포함한 고위험군의 예방접종이 필요하다.
-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백신의 효과와 현재 유행 중인 바이러스
현재 유행 중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중 (H1N1)pdm09(34.6%)가 가장 높고, H3N2와 B형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백신주와 유사한 바이러스가 검출됨에 따라 백신 접종 후 높은 중화능이 형성되어 예방 효과가 기대된다. 이는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경우 중증화 위험을 예방하고, 치료제 내성에 영향을 주는 변이도 발견되지 않아 백신을 통한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방접종을 권장하는 지침을 따라 적시에 백신을 접종해야 할 것이다.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및 예방접종 정보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12월 20일 국내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발령하였다. 이 기간 동안 소아 및 임신부와 같은 특수 집단은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항바이러스제를 처방받을 수 있으며, 건강보험 요양급여가 적용된다. 2024~2025 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고위험군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어린이 및 65세 이상 어르신의 접종률이 지난해 기간에 비해 다소 낮아져 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예방접종 기관 안내
지정 의료기관 및 예방접종 가능 보건소 확인 |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 접종 가능 기간 |
61개 시도 보건소 및 의원 | 위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 | 2024년 4월까지 시범 운영 |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은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가능하며,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이와 관련된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인플루엔자가 유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예방접종을 통해 충분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호흡기 감염병 예방 수칙
지영미 질병청장은 현재 인플루엔자가 급속도로 유행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봄철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들은 즉시 백신 접종을 받아야 하며, 외출 전후 손씻기, 기침 예절 및 마스크 착용 등 기본적인 예방 수칙을 준수할 것을 권장했다. 이와 더불어 밀폐된 공간에서는 자주 환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요 연락처 안내
감염병 관련 상황에 대한 문의는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감염병관리과에 전화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현행법에 따라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필요한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보건 안전을 위한 최선의 방안이 될 것이다.
출처 및 저작권 안내
본 내용은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자료의 활용 시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는 점을 유념하시기 바란다. ❚ 본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지만, 사진의 경우 저작권이 제3자에게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결론
결국, 인플루엔자는 모든 연령층에서의 확산으로 인해 적극적인 예방이 필요하다. 백신과 예방 수칙 준수는 핵심이 되며, 머지않아 예상되는 유행 시즌을 잘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 국민이 경각심을 가지고 준비하는 것이 공공의 건강을 지키는 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