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 롯데건설 3년 연속 최우수 선정 이유는?
2023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
2023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는 롯데건설, BGF리테일, SK실트론을 포함하여 총 44개 기업이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되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다. 이번 발표는 동반성장위원회가 8일 JW메리어트 호텔 서울에서 개최한 제80차 동반성장위원회에서 이뤄졌다. 최우수와 우수 등급을 받은 기업들은 다음 정부 차원의 인센티브를 통해 보상을 받게 된다. 특히, 최우수 기업인 롯데건설, BGF리테일, SK실트론은 평가에 참여한 이후 처음으로 최우수 등급을 획득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평가에서는 우수 65곳, 양호 69곳, 보통 32곳, 미흡 8곳이 선정되었다. 이에 따라 총 224개 기업에 대한 평가가 진행되었으며, 정부 정책과도 연결된 중요한 발표로 여겨진다.
최우수 명예기업의 성과
이번 평가에서 포스코이앤씨, SK지오센트릭, CJ제일제당은 3년 연속으로 최우수 등급을 획득하여 신규로 최우수 명예기업에 선정되었다. 최우수 명예기업은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이는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1년 이후로 최우수 명예기업은 총 30곳으로 늘어났고, 이로써 동반성장의 선도적 기업들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 SK텔레콤, 기아와 같은 대기업들은 10년 이상 최우수 등급을 유지하며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기업들이 단순히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넘어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 롤 모델이 되고 있는 최우수 명예기업들.
-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
- 동반성장지수 평가의 사회적 의미와 가치.
2023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 방법
동반성장위원회는 동반성장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위해 동반성장 종합평가와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정거래협약 이행평가 결과를 합산하여 등급을 부여했다. 평가 방식은 각 기업의 동반성장 활동을 17개 지표로 평가하며, 가장 우수한 기업에게는 인센티브를 지급하기로 결정하였다. 지난 2022년도 평가 대비 2023년 평가에서는 실적평가 점수가 2.48점 상승하였으며, 이는 특히 중견기업의 점수 상승(2.21점)이 두드러졌다. 이는 동반성장 문화가 기업 규모를 넘어 산업 전반에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평가는 단순한 리포트 여론 조사가 아닌, 기업의 미래 방향성을 정립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법 위반 기업과의 기준
동반성장지수 평가에 있어,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페널티 부과는 필수적이다. 평가 과정에서 하도급법, 대규모유통업법, 가맹사업법 위반 사례가 발견된 기업은 감점 등 페널티를 엄격히 적용받게 된다. 6개 기업은 미흡 등급으로 공표되었으며, 이들은 향후 법원 판결 결과에 따라 공표가 조정될 예정이다. 또한, 평가에 참여하지 않거나 동반성장위 체감도 조사를 위한 협력사 명단을 제출하지 않은 기업도 미흡 등급으로 군대에 배정됐다. 이는 기업들이 스스로 윤리적이고 투명한 경영을 통해 동반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동반성장 정책 방향
공정 거래 유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 법 위반 기업에 대한 엄격한 기준 | 최우수 명예기업의 사회적 역할 |
동반성장위원회는 규제를 통해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윤리적 경영을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으며, 동반성장 수준을 높이기 위한 여러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기업이 아닌 사회 전반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경제적 번영과 사회적 책임이 조화롭게 이루어지는 미래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동반성장의 지속적인 진화
동반성장위는 향후 17개 동반성장지수 지표 개편을 통해 더욱 발전된 평가 기준과 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달곤 동반성장위 위원장은 동반성장지수가 사회적 이슈와 경영 여건을 잘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내수시장 활성화를 위해 온누리 상품권 구매 실적의 배점을 높여 기업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표명하였다. 이는 기업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에 기여하도록 유도하는 매우 유효한 접근 방식으로 여겨진다.
기업과 정부의 협력
동반성장지수 평가와 관련하여 정부와 기업 간의 협력은 필수적이다. 정부는 기업의 동반성장 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고 있으며, 기업은 이를 통해 자신들의 사업 모델을 혁신할 수 있는 기회를 얻고 있다. 이러한 선순환 구조는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이끌어낼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도 기업과 정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연락처 및 추가 정보
동반성장위원회는 동반성장 평가부 및 공정거래위원회의 다양한 부서와 협력하여 동반성장 촉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대중의 신뢰를 더욱 높이기 위해, 아래의 연락처를 통해 자유롭게 문의할 수 있다. 연락처는 다음과 같으며, 필요시 자세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