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와 배 재배면적 감소, 수급 영향 미미한 이유는?

Last Updated :

사과와 배 재배면적 현황

사과와 배 재배면적은 최근 몇 년간 어떠한 추이를 보이고 있을까요?

농식품부에 따르면 사과 재배면적은 3만 3천㏊, 배 재배면적은 9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사과 재배면적은 ’02년 26,163㏊ 이후 ’22년 34,603㏊까지 증가하다가 최근 2년간 3만 3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배 재배면적은 ’19년 이후 감소세가 정체하여 9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사과와 배 재배면적 증감 추이

2019 2020 2022
2023 2024 예상
32,954 31,598 34,603
33,789 33,298 -

금사과와 금배 현황

사과와 배 재배면적의 변화가 금사과와 금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될까요?

과도한 해석으로 볼 때, 사과와 배 재배면적의 감소로 ‘금사과’, ‘금배’ 상황이 장기화된다는 주장은 과장된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예측에 의하면 올해 사과와 배 작황은 평년 수준을 유지하거나 그 이상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024년 사과와 배 작황 전망

사과
485천톤 (평년 수준 예상) 193천톤 (평년 이상 예상)

장마·폭염·태풍 등의 기상 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농식품부가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피해 우려지역을 중심으로 모니터링, 방제 및 예방 시설 강화 등을 통해 안정적인 햇과일 공급을 위한 대비를 강화 중입니다.

사과와 배 재배면적 감소, 수급 영향 미미한 이유는? | 부산진 : https://busanzine.com/141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부산진 © busan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