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체전 교통·입장권 총정리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및 장애인체전 성화 합화식 개최
부산시 시민광장에서 10월 13일 오전 10시에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와 제45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의 성공 개최를 기원하는 성화 합화 및 출발식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9월 25일부터 10월 3일까지 금정산 고당봉, 유엔평화공원, 가덕도 연대봉, 강화도 마니산 등 4곳에서 채화된 불꽃을 하나로 합화하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행사는 퓨전 퍼포먼스팀 '인(IN)풍류'의 오프닝 공연을 시작으로 성화 합화, 성화봉 점화 및 최초 봉송 주자 인계, 어린이 치어리딩단 '슈팅스타'의 축하 퍼포먼스, 봉송주자 출발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합화자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안성민 시의회 의장, 김석준 시 교육감, 장인화 시 체육회장이 참여했으며, 성화 봉송 주자로는 권중현 전 부산시체육회 부회장, 육상 유망주 이건호 대신중 3학년, 수영 선수 황설후 광남초 6학년이 선정되었습니다.
개회식 입장권 추가 배부 및 배부 현황
10월 17일 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리는 전국체육대회 개회식 잔여 입장권이 당일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1인당 2매까지 추가 배부됩니다. 지난 9월 30일부터 부산 시내 16개 구·군 및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무료 배부를 시작한 입장권은 대부분 빠르게 소진되어 시민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개회식 당일 현장 배부는 혼잡이 예상되므로 조기 방문과 대중교통 이용이 권장됩니다.
차량 2부제 및 대중교통 이용 캠페인
전국체전 기간인 10월 17일부터 23일까지 부산시 전역에서 10인승 이하 비영업용 승용차 및 승합차를 대상으로 차량 2부제(자율)가 시행됩니다. 홀수일에는 차량 번호 끝자리가 홀수인 차량, 짝수일에는 짝수인 차량의 운행이 제한됩니다.
장애인, 국가유공자 차량, 긴급용, 외교용, 보도용, 임산부 및 유아 동승 차량, 타 시도 차량 등은 제외됩니다. 공공기관 부설주차장 출입도 2부제 기간 동안 통제됩니다.
이와 함께 10월 14일 서면교차로에서 교통공사, 버스조합 등 120여 명이 참여하는 대중교통 이용 홍보 캠페인이 진행되며, 시민들에게 장바구니와 대중교통 엽서 등 기념품이 배부됩니다.
부산시 인스타그램에서는 차량 2부제 참여와 대중교통 이용을 응원하는 댓글 이벤트도 10월 14일부터 23일까지 진행 중입니다.
전국(장애인)체전 교통소통 종합대책
도로 주행 경기로 인한 교통 통제가 불가피한 가운데,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교통소통 종합대책이 마련되었습니다. 마라톤, 하프마라톤, 10km 로드레이스, 경보, 철인 3종 경기 일정에 따라 일부 시내버스 및 공항리무진 운행이 중단되거나 지연될 수 있으며, 우회 운행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종목 | 경기일정 | 교통 통제 사항 |
---|---|---|
마라톤 | 10월 19일 (일) 08:00~11:10 | 공항리무진 일부 운행 중단, 시내버스 3001, 3006번 우회 운행 |
하프마라톤 | 10월 21일 (화) 10:00~12:00 | 공항리무진 일부 운행 중단 |
10km 로드레이스 | 10월 22일 (수) 10:00~11:00 | 버스 BRT 및 차량 지연 운행 |
경보 | 10월 21일 (화) 08:00~10:10 | 해운대구 일부 도로 전면 통제 |
철인 3종 | 10월 18일 (토) 08:00~13:30 | 시내버스 일부 노선 우회 운행 |
장애인 트라이애슬론 | 10월 26일 (일) 06:00~11:00 | 시내버스 일부 노선 우회 운행 |
개회식 셔틀버스 운행 안내
개회식 당일 임시주차장 7곳에서 아시아드주경기장까지 2개 노선의 셔틀버스가 운행됩니다. 임시주차장은 케이엠피시아 어린이대공원, 시민도서관, 부산학생교육문화회관, 부산교육대학교, 케이엠피코 교대제2주차장, 거제 주차장, 케이엠피코 거제제이아웃 주차장 등입니다.
1코스는 시민도서관, 어린이대공원, 부산의료원 정문, 삼정그린코아아파트를 경유하며, 2코스는 거제역, 법원검찰청, 교대역을 경유해 경기장으로 향합니다.
사직종합운동장 내 주차 공간 부족과 타 지역 방문 차량 증가로 극심한 교통 혼잡이 예상되므로 가급적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합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안전한 전국체전
부산시는 모든 시민이 전국체전과 장애인체전을 안전하고 즐겁게 즐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