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영화제 30주년, 영화 역사의 현장

부산국제영화제 30주년, 영화 역사의 현장
부산국제영화제가 올해로 30주년을 맞이하며, 영화의 도시 부산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상영작과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관객을 맞이합니다. 2025년 9월 17일부터 26일까지 열리는 이번 영화제는 7개 극장 31개 스크린에서 총 328편의 작품을 선보이며, 아시아 영화의 미래와 한국 영화의 도약을 함께 모색하는 뜻깊은 축제입니다.
30주년 기념, 세 가지 운영 기조
부산국제영화제는 이번 30주년을 맞아 세 가지 주요 운영 기조를 발표했습니다. 첫째, 아시아 영화의 연대와 현안을 돌아보며 미래 발전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둘째, 한국 영화의 위기 극복을 지원하고 영화제라는 축제 형식으로 다양한 관심과 긍정의 계기를 마련합니다. 셋째, 관객이 진정으로 보고 싶어 하는 작품과 게스트를 초청해 진정한 관객 친화적 영화제를 지향합니다.
풍성한 상영작과 확대된 상영관
올해 공식 초청작은 64개국 241편으로 전년 대비 17편이 증가했으며, 커뮤니티비프 상영작 87편을 포함해 총 328편이 상영됩니다. 상영관은 영화의전당, CGV센텀시티, 롯데시네마 센텀시티 등 7개 극장 31개 스크린으로 확대되어 관람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개막작으로는 화제작 어쩔 수가 없다가 선정되었습니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행사
영화제 기간 동안 오픈 토크, 스페셜 토크, 액터스 하우스, 마스터 클래스, 씨네 클래스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됩니다. 특히, 한국 신예 여성 감독들이 한국 고전을 재해석하는 특별기획 우리들의 작은 역사, 미래를 부탁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아시아 주요 작품 14편이 경쟁부문에 초청되어 다양한 상이 수여됩니다.
세계적 거장과 아시아 스타들의 참여
지아장커, 차이밍량 등 아시아 거장들과 줄리엣 비노쉬, 마르코 벨로키오, 기예르모 델 토로 등 세계적인 영화인들이 부산을 찾습니다. 아시아 각국의 유명 배우들도 레드카펫을 빛내며 영화제의 위상을 높이고 있습니다.
부산국제영화제 30년의 발자취
1996년 제1회 개최 이후 부산국제영화제는 꾸준히 성장해왔습니다. 초창기 31개국 169편 상영에서 시작해, 2025년에는 64개국 241편 공식 초청작과 함께 총 328편의 작품이 상영됩니다. 관객 수 역시 수십만 명에 이르며 국내 최대 국제영화제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특별한 기념 행사와 편의 시설
30주년을 기념해 부산지방우정청과 협업한 기념우표와 엽서 세트가 출시되며, 국내 최초 스페셜 싱어롱 상영회도 동서대학교 소향씨어터 신한카드홀에서 진행됩니다. 어린이 복합문화공간 ‘들락날락’과 의료지원팀 운영 등 관객 편의 시설도 확대되어 영화제를 더욱 풍성하게 만듭니다.
영화의 도시 부산에서 만나는 세계 영화 축제
부산국제영화제는 아시아를 넘어 세계 영화인과 관객이 함께하는 축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30년의 역사와 열정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한국 영화와 아시아 영화의 발전을 이끄는 중심지로서 그 역할을 다할 것입니다. 부산에서 펼쳐지는 이번 영화제는 영화 팬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