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투자·문화·인프라 대폭 확충

부산, 투자와 도시 경쟁력 크게 향상
민선 8기 부산시정이 출범 3년을 지나 4년 차에 접어들면서 부산은 투자유치와 도시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며 지역 발전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LS, 르노코리아,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롯데쇼핑 등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가 이어지면서 최근 3년간 부산에 유입된 투자금액은 14조 원에 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투자 활성화는 청년 고용률 상승으로도 이어져 2024년 3분기 부산 청년 고용률은 46.7%로 역대 최고 수준을 돌파했다. 부산은 세계적 컨설팅 기관 지옌사(Z/YEN)가 발표한 ‘세계 지능형 센터 지수’ 평가에서 76개 주요 도시 중 12위에 올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싱가포르에 이어 2위를 차지하는 등 도시 위상과 경쟁력을 크게 높였다.
글로벌 금융·스타트업·문화관광 도시로 도약
부산은 ‘국제금융센터지수’ 평가에서도 2021년 36위에서 2025년 24위로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또한 2024년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순위에서는 처음으로 아시아 20위권에 진입하며 창업 환경도 크게 개선되고 있다.
문화관광 분야에서도 부산은 뉴욕타임즈 선정 ‘글로벌 Top 5 아름다운 해변도시’, 트립닷컴 주관 ‘글로벌 여행지 100선’, 야놀자·트립어드바이저 선정 동북아 주요 8대 도시 중 관광 만족도 2위에 오르는 등 국제적 명성을 쌓았다. 2023년에는 광역시 중 가장 많은 8곳이 ‘대한민국 밤밤곡곡 100선’에 선정되었으며, 6월에는 부산 최초의 클래식 공연장인 부산콘서트홀이 개관해 문화 인프라가 한층 강화되었다.
장기 미해결 과제 해결로 도시 발전 가속
부산시는 대저대교와 엄궁대교 착공, 해운대구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 시청 앞 행복주택 건설 등 오랜 숙원사업을 해결하며 도시 발전의 장애물을 제거했다. 특히 17년 만에 개발제한구역 500만 평을 해제해 첨단산업 육성과 글로벌 물류허브 조성을 위한 대규모 부지를 확보했다.
수영만 요트경기장은 40년 만에 해양문화 복합공간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며, 요트 계류시설과 전시·컨벤션 시설, 상업시설 등이 들어설 계획이다. 낙동강 하구 횡단 3대 대교 건설사업도 본격화되어 서부산권 교통난 해소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청년·아동·노년층 맞춤형 복지 인프라 확충
부산시는 청년이 머물며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임대주택 1만 호 공급과 임대료 지원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들락날락’ 어린이복합문화공간을 2026년까지 200곳 조성하는 등 아동 친화도시 조성에 힘쓰고 있다. 한부모가족 양육비와 주거 지원 확대, 세대 간 화합을 위한 ‘우리동네 ESG센터’ 운영 등 다양한 복지 정책도 추진 중이다.
문화예술 인프라와 시민 삶의 질 향상
부산콘서트홀 개관과 함께 부산오페라하우스, 이기대 예술공원, 부산문학관 등 문화예술 인프라가 지속 확충되고 있다. 파이프오르간 설치로 국내 비수도권 최초의 클래식 공연장으로 자리매김했다. 미쉐린 가이드가 인정한 글로벌 미식도시로서의 명성도 높아지고 있다.
세계 살기 좋은 도시로 자리매김
부산은 세계 살기 좋은 도시 아시아 6위, 시민행복 지수 특·광역시 1위, 일·생활 균형 지수 전국 1위에 오르는 등 시민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되었다. 어린이 대중교통 요금 전면 무료화, 스포츠 인프라 확충, 공공 의료시설 확장, 대중교통 통합할인제 ‘동백패스’ 시행 등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도 추진되고 있다.
